![]() |
▲ 앙버터, 크루아상이 국내 베이커리에서 판매되는 빵류 가운데 혈관 건강에 해로운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다른 빵보다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DB) |
[메디컬투데이=김우정 기자] 앙버터, 크루아상이 베이커리에서 판매되는 빵류 가운데 혈관 건강에 해로운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다른 빵보다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병희 교수팀에 따르면 2020년 4∼7월 서울 소재 베이커리에서 빵류 13종을 수거해 트랜스지방ㆍ당류ㆍ나트륨 등 ‘건강 위해가능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김 교수팀은 베이커리 빵류 중 국민 주요 식품으로 선정된 단팥빵ㆍ식빵ㆍ카스텔라ㆍ머핀ㆍ슈크림빵ㆍ잼빵ㆍ호밀빵ㆍ버터크림빵ㆍ크루아상 9종과 네이버 등 국내 포털 사이트와 영양 관리 모바일 앱에서 검색 빈도가 높은 4종 맘모스빵ㆍ앙버터ㆍ통밀식빵ㆍ프레즐 등 총 13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검사 결과 앙버터와 크루아상은 다른 제품보다 높은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함량을 기록했다. 앙버터는 빵 사이에 팥 앙금과 버터 조각이 들어간 빵으로 굽기 전 기준으로 반죽 100g당 버터 19g과 올리브유 7g 등 약 26g의 유지가 첨가된다. 이는 앙버터의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이유로 풀이된다.
통밀식빵ㆍ식빵 등 식빵류는 다른 제품보다 나트륨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당류 함량은 낮았다. 카스텔라는 포화지방ㆍ트랜스지방ㆍ나트륨 함량은 가장 낮지만 100g당 당류 함량은 가장 높았다. 1회 제공량당 당류 함량 1위는 맘모스빵이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앙버터의 트랜스지방 함량이 높은 것은 버터 외에 트랜스지방을 함유한 마가린을 함께 사용해 제조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카스텔라가 가장 높은 당류 함량을 기록한 것은 카스텔라를 굽기 전 기준으로 반죽 100g당 설탕 21~37g이 첨가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고 지적했다.
한편 포화지방ㆍ트랜스지방ㆍ당류ㆍ나트륨의 과잉섭취는 비만ㆍ당뇨병ㆍ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트랜스지방ㆍ당류ㆍ나트륨을 과잉섭취 시 건강상 위해가 우려된다며 ‘건강 위해가능 영양성분’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인은 총 지방ㆍ당류ㆍ나트륨을 각각 하루 46.9gㆍ58.9gㆍ3274㎎ 섭취하고 있다. 또 빵은 1일 총 지방 섭취량의 약 3.8%, 당류 섭취량의 약 4.2%, 나트륨 섭취량의 2.1%를 제공하고 있다.
메디컬투데이 김우정 (helen826@mdtoday.co.kr)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