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24 (화)
즐겨찾기
모바일버전
전체기사
LOGIN
회원가입
의료
의료산업
병원ㆍ약국
학술
단체
병원뉴스
닥터뉴스
전체 카테고리
정책
보건ㆍ복지
여성
인권
노동
환경
교육
의료
의료산업
병원ㆍ약국
학술
단체
병원뉴스
닥터뉴스
건강
가정의학
내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소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외과
이비인후과
정신과
정형외과
치과
피부과
암
산업
제약
바이오
의료기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금융
기업탐방
유통
레저ㆍ스포츠
기타
사건ㆍ사고
메디컬
일반
지구촌
지구촌
의료법&톡
메디포토
보건ㆍ복지
의료계 동향
기업 Focus
오늘의 인물
환경
웰빙
웰빙
뷰티
육아ㆍ교육
DRUG
FOOD
실버
DIET
性
여성
흡연ㆍ음주
기타
기자수첩
종합
칼럼
포토
인사
Fun&Life(IR)
행사
광고
방송
e-뉴스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연예
스포츠
IT과학
세계
검색
학술
Search:
5,063건
코로나19 확찐자 늘었을까?…국민 평균 체중은 ‘그대로’
김민준
2021.09.01
코로나19가 실제로 우리 국민의 평균 체중을 늘리진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코로나19 유행 후 혈압과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오르고 공복 혈당은 내렸다. 이는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 송상욱 교수팀이 2019년 1월 1일∼2020년 11월 30일 성빈센트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매년 방문한 수진자 중에서 ...
아시아인 대상 위식도 역류질환 ‘임상진료지침’ 발표
이재혁
2021.09.01
한국인 등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위식도 역류질환에 관한 임상진료지침이 발표됐다. 1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이광재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정혜경·태정현 교수 등이 주책임자로 국내외 소화기질환 전문 교수 35명이 ...
40세 이하 젊은 유방암 환자, ‘메이크업유어라이프’ 했더니 우울ㆍ자존감 저하 극복
이재혁
2021.09.01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가 아모레퍼시픽과 함께 유방암 환자를 위해 만든 교육 프로그램 ‘메이크업유어라이프’가 유방암으로 인한 자존감 저하, 우울, 불안 등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및 ...
DGIST, 단백질에 의한 DNA 뭉침-풀림 조절 원리 규명
남연희
2021.08.31
DGIST 에너지공학전공 장윤희 교수‧프랑스 투르대 이브란삭 교수(DGIST 겸직교수) 공동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DNA 뭉침-풀림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러한 ...
KAIST, 방관자 T세포에 의한 질병 발생 이론 발표
이재혁
2021.08.31
KAIST는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이호영 박사, 정성주 대학원생이 감염질환에서 방관자 T세포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제로 세계적인 면역학 권위지인 `네이처 이뮤놀로지(Nature Immunology)' 8월호에 초청 리뷰 ...
‘로봇보조 보행치료’ 안전성ㆍ효과성 입증…보행기능 2.2배 ↑
이재혁
2021.08.31
‘로봇보조 보행치료’를 시행한 지 20년이 넘었다. 1999년 스위스에서 최초로 개발돼, 해외에선 2000년대 초부터 재활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했다. 20년간 수많은 연구에서 로봇보조 보행치료의 안정성과 효과성이 입증됐다. 하지만 ...
인공 장기유사체 완성도 평가 가능 기술 개발
김민준
2021.08.31
국내 연구진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와 인간 장기간 유사도 분석을 위한 정량적 평가 알고리즘 및 분석 웹페이지를 개발했다.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폐, 위 오가노이드와 심근세포의 분화 완성도, 인체 ...
정상 체중도 내장지방 많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 2배 ↑
김동주
2021.08.31
비만한 사람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동맥경화로 인한 심혈관 질환이 잘 발생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려면 단순한 체중 감량보다 내장지방 관리에 신경써야 하겠다. 국내 연구팀이 내장지방이 ...
로렌조 오일병,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 가능성 확인
이대현
2021.08.31
로렌조 오일병으로 잘 알려진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ALD)을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조성래 교수와 한양대학교 화학과 배상수 교수 연구팀은 AL ...
암세포 스스로 항암면역기능 증진시키는 새로운 기전 규명
이재혁
2021.08.31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박한희 대학원생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RIPK3 activation induces TRIM28 derepression in cancer cells and enhances the anti-tumor ...
고령자, 전동휠체어 사고로 머리 부상 당하면 ‘중증’ 가능성 ↑
김동주
2021.08.30
전동휠체어에 의한 사고 발생 시 70세 이상의 고령자가 머리 부상이 있을 때 ‘중증’ 부상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천대 길병원 응급의학과 우재혁 교수는 국내에서 2011~2018년 응급실 손상환자 데이터를 이용해 ...
‘질 좋은 근육’ 많을수록 고혈압ㆍ당뇨병 위험 ↓
김동주
2021.08.30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지방간처럼 근육에 지방이 축적되는 현상을 ‘근지방증(마이오스테아토시스·Myosteatosis)’이라 한다. 근육의 지방화가 많이 진행될수록 근육의 질은 저하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근육의 질이 대사 건강을 ...
키홀 접근법, 다발성 뇌동맥류 치료에도 안전ㆍ효과적
이대현
2021.08.30
머리에 작은 구멍을 내는 키홀 접근법이 다발성 뇌동맥류 치료에도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환자의 부담이 감소하는 것은 물론 뇌동맥류 치료의 새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조원상 ...
‘스마트 콘택트렌즈 이용’ 비침습적 당뇨병 자가 진단 시스템 개발
남연희
2021.08.30
눈물을 이용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기존 침습적인 방법을 대체하여 채혈시 발생할 수 있는 통증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트 생명공학과 정의헌 교수 ...
인공지능 딥러닝으로 이상 호흡음 구별한다
이재혁
2021.08.30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딥러닝으로 호흡음을 분석하고 이상 호흡음을 구별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충남대병원 정재욱 교수팀은 전자 청진기를 통하여 녹음한 호흡음을 인공지능 딥러닝을 통해서 정확하게 분석하고 여러 이상 호흡음들을 ...
신체기능 떨어뜨리는 ‘근감소증’…혈중 ALP로 예측 가능
김동주
2021.08.30
근육량이 정상보다 감소해 발생하는 질병인 ‘근감소증’은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등 합병증을 유발해 신체 전반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최근에는 영양 불균형 등 요인으로 젊은층에서도 근감소증이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국내 연구진이 ...
연세대 연구팀, 인간 표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지도 구축
이재혁
2021.08.30
한국인의 장에 사는 미생물의 유전자 지도가 처음으로 구축되며 개인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정보 기반 정밀 의료기술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이인석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인의 장내 공생미생물 유전체들 ...
수면장애 있는 빈혈 환자…하지불안증후군 의심해야
이대현
2021.08.27
철결핍성 빈혈 환자 40% 이상이 하지불안증후군으로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 동산병원 수면센터 조용원 교수는 혈액종양내과 도영록 교수와 함께 철결핍성 빈혈 환자 124명을 대상으로 하지불안증후군의 빈도 및 ...
양악수술, 전문의가 하면 안전하고 효용성 높다
고동현
2021.08.27
“양악수술, 위험하지 않나요?”, “양악수술 하고 마취에서 못 깨어난 사람이 있다면서요?”, “양악수술 후 위아래 치아가 맞지 않아서 입을 잘 못 다물고 밥을 잘 못 씹는 사람이 있다더군요” 이런 질문은 양악수술을 하는 의사나 ...
부작용 줄이면서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법 실마리 규명
이재혁
2021.08.27
임플란트 치료를 받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우려와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국내 연구팀이 부작용을 줄이면서 임플란트 주위염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규명했다. 연세대 치과대학 보철과학교실 이재 ...
1
2
3
4
5
6
7
8
9
10
▶
HEADLINE
나노 미세먼지, 몸 속 깊이 침투해 오랫동안 영향 끼친다
KAIST, 생체 조직 내 여러 바이오마커 동시 탐지하는 고성능 기술 개발
당뇨환자 10% 이상 체중 감량하면 고관절위험 1.6배 ↑
PHOTO NEWS
레인보우로보틱스, 1분기 매출액 36.8억…전년比 182%↑
이화의료원-KAIST, 정밀의료 및 AI기반 디지털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위한 기술협력
셀트리온, 日류마티스학회서 ‘유플라이마’ 임상 1상 결과 발표…"안전성 확인"
많이 본 기사
1
[메디포토] 'K리그와 함께하는 장기기증 캠페인' 참석한 조원희 선수
2
동원시스템즈, 무균충전음료 사업 확대…제2공장 신설에 800억 투자
3
백경란 질병청장 "감염병 백신·치료제 개발역량 강화…연구개발 및 인프라 투자 확대"
4
의사‧간호조무사, 간호법 제정 저지 공동 궐기대회 개최
5
주름 개선하는 금실 리프팅 시술이란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청소년보호정책
윤리강령
기사제보
제휴문의
클린신고